올해 산불로 배출된 이산화탄소가 이미 지난해 한 해 배출량의 약 2배인 것으로 나타났다. 산불로 증가한 온실가스에 기후변화가 가속되고, 온실가스로 다시 산불이 나기 쉬운 환경이 되는 악순환인 '되먹임 효과'가 나타나는 게 아니냐는 우려도 나오고 있다.
30일 국제 통계 사이트 '아워 월드 인 데이터'에 따르면 올해 3월 27일까지 한국에서 '산불로 배출된 이산화탄소'는 234만5천182t(톤)으로 집계됐다. 이는 작년 한 해 배출량(133만5천848t)의 1.8배 수준이다.
숲이 불타면 광합성에 의한 이산화탄소 흡수력이 약해지고 숲에 저장된 이산화탄소가 배출된다. 또 연소 과정에서 나무의 탄소 성분이 산소와 결합해 이산화탄소가 만들어지기도 한다. 이렇게 배출된 이산화탄소는 결과적으로 기후변화를 앞당긴다...더보기
산불로 산림 4만8000ha 불탔다...서울면적의 80% '잿더미'
경상권 등에서 발생한 산불로 인해 우리나라 산림 4만8000헥타르(ha)가 불탔다. 이는 역대급 피해규모로 서울면적의 80%가 잿더미로 변한 것이다. 28일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에 따르면 이번 산불로 산림 4만8150ha 규모가 피해를 당했다. 이는 역대 최대였던 2000년 동해안 산불의 피해면적 2만3794ha의 2배가 넘는다...더보기
'소나무가 땔감 역할'...경북지역 산불피해 키웠다
지난 22일 의성에서 성묘객의 실화로 발생한 산불은 7일째 접어들면서 경상북도 지역에 역대급 산불 피해를 낳았다. 28일 산림 당국에 따르면 경북 시·군별 산불영향구역은 의성 1만2821㏊, 안동 9896㏊, 청송 9320㏊, 영양 5070㏊, 영덕 8050㏊으로, 4만5157㏊에 달한다. 다른 지역에 비해 유독 경북지역의 산불피해가 컸던 것은 소나무 숲이 가장 많았기 때문이라는 분석이다...더보기
英 탄소배출량 1년새 4% 줄였다...감축 비결은?
영국의 탄소배출량이 지난해 4%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27일(현지시간) 영국 에너지안보·탄소중립부(DESNZ)는 2024년 영국 온실가스 배출량이 3억7100만 이산화탄소 등가량 미터톤(MtCO2e)이라고 발표했다. 이는 2023년 3억8500만톤보다 감소한 수준이다. 1990년 배출량과 비교하면 54%나 감축했다...더보기
미얀마 7.7 강진...1000㎞ 떨어진 방콕까지 '흔들흔들'
미얀마 중부 내륙에서 28일 낮 12시 50분경(현지시간) 규모 7.7의 강진이 발생했다. 이 지진으로 태국에서 짓고 있던 빌딩이 무너졌다. 이날 유럽지중해지진센터(EMSC)와 미국 지질조사국(USGS)에 따르면 진앙은 인구 120만명의 미얀마 제2 도시 만달레이에서 서남서쪽으로 33㎞, 수도 네피도에서 북북서쪽으로 248㎞ 각각 떨어진 지점이다. 진원 깊이는 10㎞로 관측됐다...더보기
뉴스;트리 이메일 | newstree@newstree.kr 주소 | 서울 강남구 도곡로 538 (대치동) 엠스토리빌딩 3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