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통을 포함한 수송 부문 온실가스 배출량은 2022년 기준 9850만톤으로, 이는 우리나라 전체 배출량의 약 13.6%를 차지한다. 수송 부문은 대부분 화석연료에 의존하고 있어, 산업·전환 부문에 이어 세번째로 온실가스 배출이 많다. 휘발유·경유를 사용하는 내연기관 차량도, 여전히 전체차량의 81.8%를 차지하고 있다.
정부가 2030 수송부문 NDC를 목표하면서 각 지자체들은 교통 부문 온실가스 감축을 위해 전기자동차 보급확대, 수소버스 도입 등 친환경 교통수단으로 전환하기 위한 정책에 힘을 쏟고 있다. 하지만 전기차 보조금 지급액을 비롯해 충전 인프라 구축, 수소버스 예산 등에서 지역별로 차이가 크다. 이를테면 서울시는 전기차 보조금이 최대 60만원에 불과하지만 광주시는 최대 330만원에 이른다. 지자체별로 보조금 지급 대수도 상이하다. 서울은 승용차 4000대, 경기도는 300~1500대, 6대 광역시에서는 3000~4000대 정도가 보조금을 받을 수 있다.
지역별 인구차이를 감안하더라도 소비자들은 동일한 차량을 더 높은 가격에 구매해야 하는 불이익이 발생할 수 있다. 실제로 보조금을 더 많이 주는 지자체로 구매자들이 몰리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이에 전문가들은 지자체별 보조금 차이가 크면 공정성 논란...더보기
"3년 뒤 기후재앙 '마지노선' 1.5℃ 넘는다"...IGCC의 경고
탄소배출량이 지금처럼 지속되면 3년 뒤에는 기후변화 마지노선인 1.5℃를 넘어설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19일 지구 기후변화 지표(IGCC)는 지금처럼 이산화탄소가 배출되면 3년 뒤에 국제사회가 기후재앙을 막기 위해 약속한 마지노선을 넘어설 것으로 분석했다. IGCC는 기후변화에 관한...더보기
백두대간 보호지역 지정 20년…"산림 훼손 여전"
백두대간이 보호지역으로 지정된지 20년이 지났지만 복원은커녕 광산 개발 등으로 인한 산림 훼손이 여전한 것으로 나타났다. 녹색연합은 백두대간 보호지역 지정 20주년을 맞아 관리 실태 조사한 결과, 백두대간 광산 지역에서 난개발이 지속되고 훼손도 여전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19일 밝혔다...더보기
'인조잔디' 안전한가!...유해성 알리려던 과학자들 고소 당해
아이들이 뛰노는 놀이터와 학교 운동장에 깔린 인조잔디의 유해성 여부를 놓고 논란이 일고 있다. 인조잔디에서 발암 가능성이 있는 화학물질이 검출됐다는 연구결과가 나오면서, 어린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그러나 이를 알리려던 학자들이 업체로부터 명예훼손 혐의로 피소되면서 논의 자체가 막히고...더보기
지구온난화로 해빙 녹아...남극 물범 절반 이상 줄었다
지구온난화로 남극 해빙이 녹으면서 남극 물범 개체수가 50년 전에 비해 절반 이상 감소했다. 영국 남극 조사국(BAS)은 18일(현지시간) 1970년대부터 남극 남부의 물개 개체수를 모니터링한 결과, 웨델물범의 개체 수는 1977년 이후 54% 감소했고, 남극물범은 47% 감소했다고 밝혔다. 남극 물범은 해빙과의 관계에 따라 두 가지로 나눌 수...더보기
EU '탄소상쇄 크레딧' 재도입되나?..."조건부 부활시켜야"
유럽연합(EU) 배출권거래제(ETS)를 설계한 조스 델베크 전 유럽연합집행위원회 기후총국장이 국제 탄소상쇄 크레딧의 제한적 재도입을 주장하고 나섰다. 자신이 직접 금지했던 제도를 "조건부로 부활시켜야 한다"고 주장한 것이다. 델베크 전 국장은 2010년부터 2018년까지 유럽연합 기후정책 수장을 맡으며 배출권거래제를 구축하고...더보기
에너지硏, 초대형 풍력발전기 블레이드 설계기술 국산화 성공
지금까지 수입에 의존했던 초대형 풍력발전기를 국내에서 생산할 수 있게 됐다.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풍력연구단 유철 단장 연구진은 독자기술로 초대형 풍력발전기 블레이드 설계 플랫폼과 제작, 시험까지 가능한 통합 인프라를 구축하고, 12메가와트(MW)급 블레이드를 설계해 국제인증...더보기
뉴스;트리 이메일 | newstree@newstree.kr 주소 | 서울 강남구 도곡로 538 (대치동) 엠스토리빌딩 3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