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가 전체 발전용량의 50%를 재생에너지로 채웠다. 이는 파리기후변화협정에서 인도가 정한 2030년 목표보다 5년 빠르게 달성한 것이다.
14일(현지시간) 인도 정부가 공식 발표한 바에 따르면 올 6월말 기준 인도의 재생에너지 발전설비 비중은 48.27%를 차지했다. 원자력은 1.81%에 불과했다. 이는 인도가 2030년 비화석연료 에너지 발전설비 비중을 50%까지 늘리겠다는 국가온실가스감축목표(NDC)를 무려 5년이나 앞당긴 결과다. 올해 6월말 총 발전용량 484.8GW 가운데 234GW를 재생에너지로 달성한 것이다...더보기
플라스틱 쓰레기로 만든 새 둥지 90% 넘는다
플라스틱 쓰레기로 만든 새 둥지가 90%를 넘는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이 둥지에서 태어난 새끼들 중 일부는 2주만에 쓰레기에 엉켜 목숨을 잃었다. 14일(현지시간) 영국 UEA대학 환경과학부 우르술라 하인츠 박사 연구팀은 포르투갈 남부에서 2018년~2023년까지 568개의 흰 황새 둥지를 모니터링한 결과, 둥지의 91%(517개)가 비닐봉지, 플라스틱 노끈, 헌옷 등 플라스틱 쓰레기를 사용해 만들어졌다고 밝혔다...더보기
석탄재 투기로 식수·바다 몽땅 오염...한전 석탄발전소에 필리핀 지역민 '분통'
한국전력공사가 필리핀에서 운영하는 석탄화력발전소로 인해 지역주민들이 호흡기 질환과 어획량 감소를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기후솔루션이 입수해 15일 공개한 '필리핀기후정의운동'의 5월 피해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2011년 건립된 필리핀 세부 석탄화력발전소에서 발생하는...더보기
감사원 "온실가스 감축 안하면 2080년 폭염사망 30배...정부, 대응해야"
기후변화가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기후보건 영향평가'가 미래 예측 위주로 바뀌어야 한다는 감사원의 지적이 나왔다. 질병관리청이 예산 부족 등을 이유로 향후 폭염 피해나 감염병의 발병 규모는 예측하지 않은 채 과거 사망자 수, 감염병 환자 신고 건수만 단순 집계하고 있다는 것이다...더보기
온난화 주범 이산화탄소를 일산화탄소로 전환하는 기술개발
지구온난화의 주범인 이산화탄소를 유용한 화학연료로 바꿀 수 있는 효율적인 기술이 개발됐다.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화학물리학과 박경수 교수 연구팀은 로듐(Rh) 촉매와 담체간 상호작용을 정밀하게 제어해 이산화탄소(CO2)를 산업 원료인 일산화탄소(CO)로 전환하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15일 밝혔다...더보기
"2035 NDC, 청년·여성 등 기후위기 당사자 목소리 반영해야"
2035년 국가온실가스감축목표(NDC) 수립 과정에서 청년·여성 등 기후위기 당사자의 참여와 권한을 보장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제기됐다. 전문가 중심의 기존 기후거버넌스 체계를 개편하고, 기후위기 당사자들이 정책의 주체로 설 수 있도록 구조적 변화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15일 여성환경연대·녹색전환연구소·기후변화청년모임 빅웨이브에서 공동주관하고...더보기
뉴스;트리 이메일 | newstree@newstree.kr 주소 | 서울 강남구 도곡로 538 (대치동) 엠스토리빌딩 3층